

학교장추천전형-학생부위주
방식 : 준비된 제시문과 문제 + 메모장, 고민하는 시간 12분, 준비된 대답과 추가질문,
학생부 활동 내용 또는 자기소개서 관련 질문, 지원학과 관련 질문, 메모장 제출 후 퇴실
유형 : ① 제시문 + 문제 - 논지가 명확하게 담긴 제시문 - 정답은 없지만, 구체적인 질문으로 이루어진 문제
예) – 문제 1. 공자의 윤리를 비판하시오. 2. 본인이 생각하는 바람직한 대화란?
3. 공공장소에서 히잡 착용을 금지한 프랑스의 사례에서 결여된 가치를 제시문과 연관지어 설명하시오
예) - 제시문 : 공자의 윤리사상 - 제시문 : 프로크루테스의 침대
② 학생부, 자기소개서 관련 질문 - 교내생활 중 갈등을 해결한 사례 - 진로 변경의 이유 - 인문학 강의 중 가장 감명 깊었던 것을 선정한 이유는?
③ 전공관련 질문 - 주어진 문제에 대한 지원학과 측면에서의 해결책 제시 - 우리학과의 교육내용을 알고 있는가?
학교장 추천 전형의 면접은 난이도가 높은 수준이다. 심층면접과 인성면접을 모두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주어진 제시문의 난이도가 높은 편이고, 그 보다 학생의 대답에 대한 교수님의 날카로운 추가질문은 학생들을 당황하게 만들 가능성이 높다.
뿐만 아니라 주어진 제시문의 내용을 고교생활과 연관지어 대답을 요구하거나,
지원학과와 관련하여 문제해결을 묻는 질문들은 ‘지원학과에 대한 깊은 고민’과 ‘자신의 행동에대한 뚜렷한 목적의식’이 없이 대답하기 어려운 질문들이다.
특히, ‘철학’적 주제와 ‘시사’적 사례의 문제가 많이 출제되기 때문에 ‘깊은 사고’와 ‘시사적 감각’을 함께 준비할 필요가 있다.
융합형인재전형-학생부위주
2016 고려대 면접, 구술전형의 모집인원은 증가하였다.
하지만, 최저기준이 완화됨에 따라 실질 경쟁률은 높아진다. 최저기준 충족이 모두가 된다는 가정을 하고 지원전략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학교장 추천, 융합형인재, 특별전형의 ‘면접’에서 평가하는 ‘역량’이 모두 다르다.
지원하는 전형에 맞춰 해당 인재상에 적합한 역량을 보여줄 수 있는 준비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