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설턴트그룹 컨설턴트진행flow 컨설팅자료 입시자료실

MMI 면접 유형정리 및 대비전략

최고관리자 2,578 10,681,102 2017.02.27 10:51


[인터뷰]


대략 각 STATION 당 면접시간은 10분이다. 10분 가운데 2분은 지문을 보고, 8분은 배정된 방에서 면접한다


2분 동안 지문을 제대로 파악해야 함은 물론이다. 8분 동안 면접관은 평가기준을 맞춰 미리 준비한 동일한 질문을 한다

 

동일한 질문은 기준을 잡기 위함이다. 그러므로 다른 응시자들의 답이 무엇일지 고려해야 한다

 

일반적인 답도 필요하지만 차별화된 답도 생각해야 한다는 말이다. 면접상황에서 문제해결의 시작으로 비판적 사고(Critical Thinking)가 필요한 이유다.


 

[프리젠테이션]


학생들이 가장 어려워하는 유형이다

 

제시문의 수준은 인문논술의 제시문 정도지만 이를 요약 정리해서 면접관 앞에서 발표하고

 

핵심 질문에 답해야 하기 때문에 심리적으로도 쉬운 면접이 아니다. 제시문이 텍스트만으로 이루어져 있지 않다

 

그림이나 표가 나오고 미디어까지 활용하기 때문에 제시문 자체의 이해가 아닌 해독을, 미루어 알아내는 추론을 요구한다

 

독해를 위한, 독해에 의한, 독해 학습. 여기에 이제 단순독해가 아니라, 독해를 넘어 LITERACY(문해력 文解力)라는 사실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상황면접]


상황면접은 구체적인 상황이 주어진다

 

주어진 준비시간 2분 동안 주어진 상황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파악한 뒤, 구체적인 해결책을 모색해야 한다

 

그리고 그 해결책을 면접관 또는 연기자와 소통하는 방식으로 응해야 한다. 상황은 일반적인 사건이나 윤리적 문제이다

 

그러나 이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주어진 상황 자체만을 이해해서는 안 된다. 상황을 지배하는 윤리적 판단이나 논리를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

 

일종의 추상화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문제해결책이나 답은 구체적이어야 한다

 

상황의 주제에 접근하기 위해 윤리력(倫理力) , 윤리주제에 대한 논리적 접근을 훈련해야 하는 이유이다.

 

 


MMI 인성면접의 핵심


 

인성 면접의 질문에는 한가지 정답만 있을 수가 없다

 

그러나 얼마나 정확한 지식과 풍부한 정보를 가지고 자신의 생각과 판단을 논리적으로 표현하느냐가 중요한데

 

인성면접에서 주로 평가하는 것은 지원자가 어떻게, 얼마나 생각하는 능력을 지니고 있느냐를 보는 것이다

 

주로 윤리적으로나 도적적으로 갈등상황이 벌어질 수 있는 문제에 대해서

 

찬성 쪽이든 반대 쪽이든 자기 나름의 일관된 논리와 이유를 제시하는 답변을 해야 한다

 

우수한 답변을 하려면 우선 자신의 견해나 입장을 논리적 근거를 제시하되

 

그 반대편 견해나 입장에 대해서도 적절한 비판을 곁들임으로써 자신의 주장의 타당성을 더 설득력 있게 설명해야 한다

 

즉 평가요소로 상황파악 능력, 논리적 사고능력, 소통능력 등이 지적되는 바, 이에 대해 의사소통을 위한 문해력을 기반으로

 

문제해결의 시작으로서의 비판적 사고, 그리고 가장 중요하게 연마해야 할 내용으로 윤리력의 배양을 제시한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