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설턴트그룹 컨설턴트진행flow 컨설팅자료 입시자료실

학생부종합의 평가요소 ① 학생부종합의 일반적인 평가요소

최고관리자 0 1,406 2017.02.22 13:20

 

① 학생부종합의 일반적인 평가요소 

 

학생부 종합 전형의 가장 중요한 전형 요소는 서류이다

 

보통 서류로 일정배수의 인원을 선발한 후 2단계에서 면접을 실시해 1단계 성적과 합산하여 최종 선발하나

 

단국대, 서강대, 성균관대 등은 단계별 전형 없이 서류 평가만으로 최종 인원을 선발한다

 

전형 방법이 같더라도 대학별로 요구하는 평가 기준이 다르므로 지원하고자 하는 대학의 서류 평가 요소, 면접 방법 등의 면밀한 분석이 필요하다.


 

서류는 대학에 따라 학생부(교과, 비교과), 자기소개서, 추천서, 활동보고서 등을 반영한다

 

일부 대학에서는 추천서를 폐지하는 등 제출 서류에 변화가 있으므로, 지원대학의 서류 반영 방법에 유의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학생부 교과영역에서는 전공적성 및 기초학업능력 등을 평가하고, 비교과영역에서는 교과 이외의 잠재능력 및 발전가능성 등을 평가한다.


서류 평가가 큰 비중을 차지하는 만큼 지원 분야에 대한 열정과 적성, 특기 등이 잘 드러나도록 준비해야 한다

 

학생부 교과영역 역시 중요한 평가기준인 만큼 그 동안 쌓아온 실적이 많다고 해도 교과 성적 관리에 신경 써야 한다.


 

최근 학생부 종합 전형의 가장 중요한 전형 요소는 서류 중에서도 학교생활기록부라고 할 수 있다

 

학생부는 학생 개인의 특성이 잘 나타나 있는 학교교육활동의 객관적 자료로서 기록자에 따라 표현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교과나 학급담임이 얼마나 잘 적어 주느냐가 중요하다

 

입학사정관은 학생부를 통해 학업역량, 전공적합성, 교내활동 충실도

 

인성 등을 평가하는데 같은 사실이라 하더라도 기록된 문장 내용에 따라 입학사정관들에게 부각되는 효과는 다르다

 

구체적으로 보면 학업에 기울인 노력과 학습 경험, 진로 및 전공에 대한 열정과 이해도

 

자기주도적 교내활동 참여도 및 전공관련 활동 실적 외 교내활동의 다양성, 지속성, 우수성 등이 학생부를 통해 평가된다

 

심지어 최근에는 한양대처럼 자기소개서나 추천서를 받지 않고 학교생활기록부만 받는 대학도 있으므로 

 

학교생활기록부의 기록자인 학급담임의 역량은 더욱더 중요해졌다. 그러므로 각 학교에서는 교사들의 학교생활기록부 기록 역량을 기르는데 힘써야 한다. 



[일반적인 학생부종합 전형 평가요소]


ff4a3710d42b49a50c7511d7acf62a9d_1487737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