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설턴트그룹 컨설턴트진행flow 컨설팅자료 입시자료실

[FOCUS] 대입에 사용되는 점수8종의 이해

최고관리자 0 1,451 2017.02.22 11:06



[FOCUS] 대입에 사용되는 점수8종의 이해 

 

 

 

수시는 8종의 점수가 조합된다, 대증요법을 피하되 전향적으로 접근하자

 

무엇보다 대입준비는 목표 대학 학과를 정하는 것이 우선임은 분명하다

 

여기에 이제는 대입이라는 제도 혹은 대학 입학전형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목표 설정이 자기를 아는 길의 첫 단추라면, 대입을 아는 것은 지피라고 할만하다

 

알다시피 지피지기면 이긴다고 하지 않았는가? 이를 위해 대입을 이해하기 위한 기본적인 것들을 알아보자.


 

1. 학생부 교과

 

학생부 중심전형의 전부인 학생부의 교과 성적은 다양한 방법으로 반영된다

 

대학별로 반영 과목의 학년 비율이 천차만별이다. 그러나 우리는 한 학교, 한 전형만을 보고 있지 않고

 

다른 여러 전형과 비교해서 내게 유리한 것을 찾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대표적이고 많이 쓰이는 반영 방법을 활용하면 된다

 

, 문과는 언수외사, 이과는 언수외과에 해당하는 내신 과목의 석차등급평균을 기준으로 삼으면 된다.

 

 

2. 학생부 비교과

 

학생부 중심의 수시 전형의 경우 학생부 비교과가 중요 변수가 될 수 있다

 

이는 학생부에 기재된 내용을 기준으로 한다. 그 세부항목은 출결, 교내상, 봉사활동, 기타활동, 리더십 등이다

 

참고로 봉사활동이나 자치활동은 각각 60, 70시간이면 기본에 불과하다.

 

 

학생부의 비교과를 활용하는 전형은 비율은 낮지만, 전체 전형의 절반에 이른다

 

그런데 비교과는 다른 요소와 합산했을 때는 미미하지만 대단히 중요한 다른 용도가 있다

 

다음 표를 보면 아래의 실적과 함께 학생부종합 평가영역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일반적인 학생부종합 전형 평가요소]


ff4a3710d42b49a50c7511d7acf62a9d_1487729


3. 실적

 

실적 부문은 정확한 진단을 위하여 ‘보수적인’ 자가진단을 해야 한다. 보수적인 자가진단이란 너무 후하게 점수를 주지 말라는 의미다

 

세부항목은 대외상, 경시 성적, 자격증 유무, 포트폴리오, 체험활동 등이다. 실적 부문은 해당되는 항목을 찾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해당되면 비교과 부문에 비해 배점이 크다. 대외상, 경시, 자격증의 공통점은 모두 확실히 증명가능하며 믿을만한가라는 평가가 들어간다는 것이다

 

아래 표는 대부분의 대학에서 인정하는 대회와 시험이다

 

 

4. 공인 외국어 성적

 

공인 외국어 성적은 국제화, 글로벌 등이 전형명에 포함된 일종의 특기자 전형에 활용된다

 

외국에서 공부한 학생이 많아 최근에는 매우 붐비는 전형이 됐고, 그 덕에 대학이 제시하는 기준점수보다 합격 컷이 매년 올라가는 추세다

 

공인성적을 활용하는 전형의 특징은 최근 들어 자격기준화 하고 있다는 점과 면접 등의 기타요소가 강화된다는 점이다

 

, 대학이 제시한 기준을 넘으면 어학 실력은 거의 같다고 인정해 동일한 점수로 다음 단계로 넘겨 면접 등 기타요소로 마지막 합격자를 선정 한다는 것이다

 

이제는 공인성적만으로는 안 된다는 말이다.

 


참고로 다음은 영어를 비롯한 몇 종 언어를 교차해서 상호 비교해 볼 수 있는 조견표이다.

 

 

 

[공인 외국어 성적 조견표]


ff4a3710d42b49a50c7511d7acf62a9d_1487729


5. 대학별고사

                        

대학별고사는 논술과 면접, 적성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그 세부를 들여다 보면 매우 다양하다는 사실에 놀라게 된다

 

뿐만 아니라 대학별고사는 실제로는 단 한번도 자신의 실력을 객관적으로 점검해 보지 못했다

 

이 두 가지 이유로 대학별고사에 대한 수험생의 생각이나 기준은 극과 극을 달리게 된다.

 

 

 

먼저 내게 해당되는 대학별고사가 어떤 것인지 구체적으로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논술만해도 문/이과가 다르고, 문과논술 안에도 영어제시문형, 자료해석형 등 다양하다. 면접도 인적성, 심층, 영어면접, 영어에세이 등이 있다


그 다음 해당 대학별고사에 내가 어느 준비되어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Comments